정부지원제도나 복지 혜택을 알아보다 보면
가장 자주 마주치는 말이 바로 **“중위소득 ○% 이하”**라는 표현입니다.
그런데 정확히 내가 중위소득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애매할 때가 많죠.
그래서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를 정리해봤습니다.
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 (보건복지부 발표 기준)
가구원 수 | 100% 기준 (원) | 150% (저소득층 기준) |
1인 가구 | 2,208,000원 | 1,104,000원 |
2인 가구 | 3,683,000원 | 1,841,500원 |
3인 가구 | 4,751,000원 | 2,375,500원 |
4인 가구 | 5,800,000원 | 2,900,000원 |
5인 가구 | 6,819,000원 | 3,409,500원 |
※ 출처: 보건복지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고시자료
중위소득은 어디에 쓰이나요?
정부에서 운영하는 거의 모든 복지 제도는 소득 기준을 판단할 때
이 “중위소득”을 기준으로 대상자를 나눕니다.
예를 들어,
- 기초생활보장제도: 중위소득 30~50% 이하
- 근로장려금: 중위소득 60~80% 이하
- 청년·노인 복지제도: 100% 이하 기준 많음
따라서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는지 확인하려면
내 월소득이 이 기준표에서 몇 퍼센트 수준인지 확인해보는 게 가장 빠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