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법인지방소득세 신고와 납부, 꼭 알아야 할 핵심 가이드

by anjumoney5 2025. 4. 20.

매년 4월은 법인사업자에게 중요한 세무 일정이 기다리고 있습니다.

바로 법인지방소득세 신고 및 납부 기간인데요.

세율, 신고 방법, 분할납부 제도, 세정지원 혜택까지 꼼꼼하게 알아두면 불이익 없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.

아래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.

✅ 법인지방소득세, 누가 대상일까?

  • 신고 대상: 12월 말 결산법인
  • 신고지 기준: 본점 또는 주사무소가 소재한 지자체
  • 주의사항: 여러 지자체에 사업장이 있을 경우 안분신고 필수

안분신고 누락 시 무신고 가산세 20% 부과 가능

💰 세율표 한눈에 보기

과세표준 2022년 이전 개시 2023년 이후 개시
2억 원 이하 1.0% 0.9%
2억 ~ 200억 원 이하 2.0% 1.9%
200억 ~ 3,000억 원 이하 2.2% 2.1%
3,000억 초과 2.5% 2.4%

🧾 신고 및 납부는 어디서?

  • 기한: 4월 30일까지
  • 전자신고: 위택스 또는 스마트 위택스 앱
  • 오프라인 신고: 지자체 방문 또는 우편 제출
  • 납부 수단: 위택스, 가상계좌, 카드결제, ATM 납부 등

전자신고 위택스 바로가기

 

마감일 근접 시 서버 지연 발생 가능하므로 조기 신고 권장

📌 분할납부, 이런 경우 가능합니다

납부세액 분할 가능 금액 분할 기한
100만 원 초과 ~ 200만 원 이하 100만 원 초과분 1개월 이내
200만 원 초과 납부세액의 50% 이하 일반: 1개월 / 중소기업: 2개월 이내

※ 분할납부 신청 필수, 자동 적용 아님

🛡️ 세정지원 제도 총정리

① 납부기한 직권 연장 (3개월)

  • 대상: 재난지역 소재 중소기업, 항공사고 피해 기업, 수출 중소기업
  • 변경 내용: 납부기한 → 4월 30일 → 7월 31일로 연장
  • 신고기한은 기존 유지 (4월 30일까지)

② 재해손실 세액 차감

  • 대상: 사업용 자산의 20% 이상 손실 법인
  • 차감 방식: 법인지방소득세 × 자산 상실 비율
  • 신청: 재해 발생 후 4개월 이내, 위택스 또는 지자체 방문/우편

 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여러 지역에 사업장이 있는데, 한 곳에서만 신고하면 되나요?
A. 아니요. 반드시 사업장별로 지자체에 안분신고 해야 합니다. 누락 시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

Q2. 위택스로 신고하는 것이 꼭 필요한가요?
A. 전자신고가 편리하고 빠르며, 오프라인보다 접수 확인이 명확합니다. 단, 방문이나 우편 신고도 가능합니다.

Q3. 분할납부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A. 위택스에서 직접 신청 가능하며, 기한 내 신청해야 분할이 허용됩니다.

Q4. 납부기한 연장 대상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A. 산불·항공 사고·수출 중소기업 중 국세청에서 이미 직권 연장한 법인이라면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연장됩니다.

Q5. 신고를 늦게 하면 어떻게 되나요?
A. 납부 지연 시 가산세, 신고 지연 시 무신고 가산세가 부과되며, 시스템 폭주로 접속 장애도 발생할 수 있으니 조기 신고가 안전합니다.